전체 글62 공무원 월급 직급보조비, 대민활동비, 정액급식비 알아보기(지급액, 지급일) 공무원 월급 중 본봉을 제외하고도 매월 받는 수당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모든 공무원이 매월 받는 수당인 직급보조비, 대민활동비, 정액급식비가 있습니다.오늘은 위의 3가지 수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급보조비 직급보조비란 공무원의 직급에 따라 받는 수당입니다.직급에 따라 받게되는 수당이기 때문에, 당연히 직급에 따라 차등지급됩니다.직급보조비 지급대상 직급보조비는 모든 공무원에게 지급됩니다.다만, 권한대행기간 중의 지방자치단체장은 제외입니다.직급보조비 지급액직급보조비 지급액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일반적인(?) 공무원인 9급부터 4급까지의 공무원 직급보조비 금액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구분9급8급7급6급5급4급직급보조비 지급액175,000원175,000원180,000원185,000원250,000원40.. 공무원 정보 2025. 1. 31. 더보기 ›› 공무원 휴가 알아보기(재직기간 별 연가일수, 병가, 공가, 특별휴가) 직장인에게 휴가는 정말 단비 같은 것이죠. 공무원은 '연차' 대신 '연가'라는 단어를 씁니다.오늘은 공무원 연가, 병가, 공가, 특별휴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 연가 정신적, 신체적으로 휴식을 취하여 근무능률을 유지하고 개인 생활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휴가입니다.재직기간 별 연가일수 재직기간 별 연가일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재직기간연가일수1개월 이상 1년 미만11일1년 이상 3년 미만15일3년 이상 4년 미만16일4년 이상 5년 미만17일5년 이상 6년 미만20일6년 이상21일여기서 재직기간은 공무원연금법 제25조제1항~제3항까지 규정을 따르되, 연월일수로 계산한 재직기간을 말합니다. 또한 1년 동안 병가를 사용하지 않았거나, 연가보상비를 지급받지 못한 연가가 남아있는 공무원에게는 다음 .. 공무원 정보 2025. 1. 27. 더보기 ›› 2025년 공무원 시험 일정(9급, 7급, 교육청 교육행정직, 법원직, 계리직) 2025년 공무원 시험 일정이 발표되었습니다. 지방직, 국가직, 교육청, 법원직, 계리직 시험 일정을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직 9급 시험 일정시험공고일원서접수 기간필기시험필기합격자 발표면접시험최종합격자 발표1. 2.(목)2. 3.(월)~2.7.(금)4.5.(토)5.9.(금)5.28.(수)~6.2.(월)6.20.(금) 9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은 4월 5일입니다.원서접수 기간은 2월 3일부터 2월 7일까지 5일간이며, 필기 합격자는 5월 9일에 발표됩니다.필기합격자 면접시험은 5월 28일부터 6월 2일까지 4일간 진행되며, 최종합격자 발표는 6월 20일입니다. 지방직 9급 시험 일정시험공고일원서접수 기간필기시험필기합격자 발표면접시험최종합격자 발표2월 중시, 도별 발표3.24.(월)~3.28.(.. 공무원 정보 2025. 1. 24. 더보기 ›› 공무원 의원면직 후 행정공제회 퇴직급여 신청하기(행정공제회 탈퇴) 공무원 의원면직을 하셨다면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그동안 납부해왔던 행정공제회 퇴직급여 신청,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퇴직수당 및 연금 신청을 해야합니다. 오늘은 행정공제회 퇴직급여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행정공제회 급여 종류 행정공제회 급여 종류는 퇴직급여, 탈퇴급여 2종류가 있습니다.먼저, 퇴직급여는 공무원에서 퇴직할 경우 지급받는 급여입니다.의원면직, 정년퇴직, 명예퇴직, 해임, 파면, 사망 등으로 공무원의 신분을 상실한 경우에 청구하는 급여입니다.공무원이 아닌 상태이기 때문에 당연히 재가입은 불가합니다. 다만, 재임용 시에는 재가입이 가능합니다. 탈퇴급여란 공무원의 신분은 유지하는 상태에서 행정공제회만 탈퇴하는 경우 지급하는 급여입니다.공무원의 신분이 유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 공무원 정보 2025. 1. 22. 더보기 ›› 공무원 명절휴가비, 연가보상비 알아보기(저축연가 연가보상비, 지급기준, 지급일, 금액)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수당 중에서 오늘은 설날, 추석에 지급되는 수당인 명절휴가비와 남은 연가에 대해 수당으로 지급하는 연가보상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절휴가비 알아보기 공무원 명절휴가비란 말 그대로 설날과 추석, 2번의 명절에 지급받는 수당입니다.명절 동안 가족과 휴식을 취하고 재충전 하는 것을 경제적으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공직자로 성실히 근무한 공무원들의 노고를 격려하는 의미로 지급하는 수당입니다.명절휴가비 지급 기준 공무원 명절휴가비는 설날 또는 추석 당일 재직 중인 공무원에 한하여 지급합니다.휴직 중일 경우에는 지급되지 않고, 휴가 중(출산휴가 등) 일 경우에는 지급됩니다.휴직은 재직 상태가 아니고, 휴가는 재직 중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명절휴가비 지급일 공무원 명절휴가비는 월급일 또.. 공무원 정보 2025. 1. 9. 더보기 ››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