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림, 맛술 차이(미림 없을 때, 맛술 없을 때)
미림과 맛술은 요리할 때 감칠맛을 내주는 재료로 자주 쓰입니다. 미림과 맛술은 같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두 조미료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미림, 맛술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미림이 없을 때, 맛술이 없을 때 대체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림이란
미림은 일본에서 유래된 요리용 술입니다.
소주, 찹쌀, 누룩 등을 재료로 만든 단맛이 나는 술입니다.
고기, 생선 요리에 사용해서 잡내를 없애고 음식의 풍미를 더해주는 재료로 사용됩니다.
미림은 알코올의 함량이 높은 편(13%)이며, 요리를 하면서 알코올이 증발하며 음식의 맛을 부드럽게 해 줍니다.
하지만 알코올의 함량이 높은 편이므로 임산부나 어린이는 섭취를 주의해야 합니다.
맛술이란
맛술은 요리할 때 사용하는 요리용 술입니다.
맛술은 청주, 과일, 야채 추출물, 감미료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듭니다.
맛술의 알코올 함량은 보통 1% 이하로 매우 낮습니다.
맛술은 미림과 마찬가지로 음식의 잡내를 없애고 풍미를 더해주는 데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미림과 맛술의 차이점
구분 | 미림 | 맛술 |
맛 | 감칠맛에 단맛이 강함 | 은은한 단맛, 신맛, 짠맛 |
향 | 쌀과 누룩에서 나오는 은은한 향 | 발효된 재료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향, 염분 향 |
알코올 함량 | 13~14% | 1~3%(보통 1% 이하) |
요리 활용 | 요리의 윤기와 풍미, 감칠맛을 더해줌 | 생선, 고기의 잡내를 제거해줌 |
법적 분류 | 주류 | 조미료 |
미림과 맛술은 알코올이 들어간 조미료로 두 가지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림의 알코올 함량은 13~14%로 알코올 함량이 높은 편입니다. 맛술은 1~3%로 알코올 함량이 낮습니다.
따라서 미림은 주류로 분류되고, 맛술은 조미료로 분류됩니다.
미림은 발효된 술로 발효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단맛이 많이 나게 됩니다. 맛술은 발효주에 첨가물을 섞어 만들어서 단맛이 강하지 않습니다.
단맛이 필요하거나 감칠맛을 더 내고 싶다면 미림을 사용하고, 고기나 생선의 잡내를 재거하는 데 목적이 있다면 맛술을 사용하면 됩니다.
미림, 맛술 대체재
요리할 때 미림 또는 맛술이 없다면 사용할 수 있는 대체재가 있습니다.
미림 대체재
- 청주+설탕: 청주 1큰술에 설탕 1작은술을 섞으면 미림의 단맛과 풍미를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화이트와인+꿀: 화이트와인에 꿀을 약간 섞어서 요리하면 미림과 비슷하게 감칠맛을 낼 수 있습니다.
- 소주+설탕: 소주 1큰술에 설탕 1작은술을 섞어서 사용하면 요리의 잡내를 제거하고 단맛을 더해줄 수 있습니다.
- 맛술+설탕: 맛술에 설탕을 약간 더해주면 미림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맛술 대체재
- 소주+설탕: 소주 1큰술에 설탕 1작은술을 섞어 사용하면 잡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물+식초+설탕: 물과 식초, 설탕을 1:1:1의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면 맛술과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을 정보
양조간장, 진간장, 국간장 차이(간장 종류, 501, 701 차이, 금F3, 금S, S 차이)
간장은 한식을 요리할 때 정말 많이 사용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간장의 종류가 많아서 어떤 요리를 할 때 어떤 간장을 써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진간장, 국간장, 양조간장,
saycheese114.tistory.com
투명페트병 무인회수기 위치 찾는 방법(네프론 위치, 사용방법)
요즘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재활용에 대한 관심도 많아져 일반 플라스틱과 투명페트병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제도가 2020년에 시행되었습니다. 정부에서
saycheese114.tistory.com
당일 택배, 고속버스 택배 제로데이 택배 이용 방법(택배비, 운송시간)
먼 지역에 급하게 당일로 물건을 보내야 하는데 직접 가지 못하는 경우에는 정말 난감합니다. 하지만 거리가 먼 곳도 당일로 배송을 해주는 고속버스 택배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오늘은 고속
saycheese114.tistory.com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이팩, 폐건전지를 생필품으로 바꾸는 방법(우유팩, 멸균팩, 폐건전지) (0) | 2025.05.02 |
---|---|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땅꺼짐 위험지역, 싱크홀 전조증상) (0) | 2025.04.30 |
투명페트병 무인회수기 위치 찾는 방법(네프론 위치, 사용방법) (0) | 2025.04.28 |
지하철 화장실 위치 확인하는 방법(개찰구 안, 개찰구 밖) (0) | 2025.04.23 |
갤럭시 분실 시 찾는 방법(분실신고, 분실모드, 위치추적) (0) | 2025.04.18 |
댓글